오십견의 원인, 나이 때문?!

오십견은 50대가 아니어도 발병할 수 있습니다. 그 원인이 나이에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죠. 어깨 관절낭에 유착을 유발하는 여러 요인들에 의해 '염증'이 생기고, 염증으로 인한 '섬유화를 유발하하여 유착을 일으키게 됩니다.
EverEx's avatar
Mar 12, 2025
오십견의 원인, 나이 때문?!
(*이 글은 재활의학과 의사, 물리치료사, 운동 전문가가 함께 작성했어요!)
 

오십견?! 50대가 아니어도 발병할 수 있습니다

 
notion image
 
오십견은 어깨 관절낭이 유착되는 질환입니다. 그 원인은 나이에 있는 것이 아닙니다. 어깨 관절낭에 유착을 유발하는 여러 요인들에 의해 발병하죠. 대표적으로 당뇨나 갑상선 질환, 장시간 어깨의 미사용 등으로 인해 ‘염증’ 이 생기고, 염증으로 인한 ‘섬유화’를 유발하여 유착을 일으키게 됩니다.
오늘은 관절낭에서 일어나는 염증과 섬유화를 통해 오십견이 발병하는 원인을 살펴보겠습니다.
 

STEP 1. 관절의 안정성을 돕는 관절낭

 
notion image
 
우리 몸을 구성하는 관절은 섬유관절, 연골관절, 윤활관절 3가지가 있습니다. 섬유관절은 두개골이나 치아와 같이 거의 움직임이 없는 관절로 아주 단단한 결합조직에 의해 연결되어 있습니다. 연골관절은 척추나 늑골같이 약간의 움직임이 존재하는 관절로 부드러운 연골에 의해 연결되어 있습니다.
 
notion image
 

윤활관절 관절낭의 안정성

윤활관절은 어깨나 고관절같이 큰 움직임이 존재하는 관절입니다.
양쪽 뼈가 서로 연골로 덮여 있고 그 사이를 활액으로 채워진 관절낭이 감싸고 있습니다. 관절낭은 다른 관절 유형에 비해 매우 유연한 특징을 가진 윤활관절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조직입니다. 과도한 유연성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안정성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1️⃣ 수동적 안정성

단단한 결합조직을 통해 관절이 특정 범위 이상으로 과도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줍니다.
 

2️⃣ 능동적 안정성

풍부한 신경조직을 통해 관절이 움직일 때 주변 근육이 적절하게 수축할 수 있도록 조율해줌으로서 관절의 안정성을 극대화해줍니다.
 
이렇게 윤활관절의 안정성을 보완해주는 관절낭은 해당 관절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발생되는 경우 염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런 현상이 반복되면 점점 조직이 끈적끈적하게 되는 유착이 발생하게 되면서 극도의 뻣뻣함을 유발하게 됩니다.
 
 

STEP 2. 관절낭에 생기는 염증

어깨 관절낭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해당 부위에 미세한 상처가 생기게 되고, 이러한 상처는 3단계(염증기-증식기-재형성기)에 걸쳐 완전히 회복하게 됩니다.
 
notion image
notion image

1️⃣ 염증 단계(Inflammatory phase)

우리 몸에서는 망가진 조직을 회복시키기 위해 손상된 조직을 제거하는 시스템이 발동됩니다. 혈관은 확장되고 확장된 혈관 사이로 대식세포들이 빠져나와 손상된 조직들을 제거합니다.
 

2️⃣ 증식단계(Proliferative phase)

이렇게 손상된 조직이 모두 제거되면 기초공사가 시작됩니다. 손상된 조직은 외부의 충격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조직을 보강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보강작업의 핵심이 되는 섬유아세포(Fibroblast)는 콜라겐 등의 조직 성분을 합성해 세포를 지지하는 골격을 만드는 세포로, 섬유아세포가 염증신호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면 근섬유아세포(Myofibroblast)로 변합니다.
 

3️⃣ 재형성기 단계(Remodeling phase)

섬유아세포의 핵심인 콜라겐은 조직을 지탱하는 기둥 역할을 하는 섬유성 단백질입니다. 콜라겐은 지지대 역할을 하며 손상된 조직을 보강합니다. 근섬유아세포는 근육의 특성으로 조직이 다시 파손되지 않고 재생에 집중할 수 있도록 상처부위를 수축시키고 조직의 변형이 오지 않도록 돕습니다. 그렇게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면 근섬유아세포는 세포 자살(Apoptosis)에 의해 사라지게 됩니다.
 
 
notion image
 
이렇게 3가지 단계에 걸쳐 손상된 조직이 정상적인 조직으로 회복하는데 당뇨나 갑상선질환 혹은 잘못된 습관으로 인해 회복 과정이 완전히 진행되지 못하고 1~2단계만 끊임없이 반복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결과 콜라겐과 근섬유아세포가 끊임없이 증식하게 되며 점점 조직이 끈적해지고 뻣뻣해지는 유착(Adhesion)이 나타납니다.
 
어께 관절낭에서 발생하는 유착은 신체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성염증은 당뇨나 갑상선 질환, 고지혈증, 파키슨 질환, 흡연, 비만 등에 의해 나타날 수 있죠. 실제로 당뇨가 있는 경우 오십견 발병률이 20% 이상 높게 나타나며,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 고지혈증 등의 대사질환들도 오십견 유발률을 최대 1.5배까지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STEP 3. 관절낭에 생기는 섬유화

 
notion image
어깨 관절낭에서 발생하는 유착은 어깨 관절낭에 가해지는 지속적인 스트레스가 조직의 섬유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1️⃣ 관절낭이 손상된 경우

수술이나 부상, 퇴행 등으로 인해 어깨 관절낭이 직접적으로 손상된 경우.
실제 어깨 수술 이후 약 11%의 환자에게서 오십견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어깨 주변을 감싸는 회전근개를 재건하는 수술을 진행한 환자들의 13%에게서 오십견이 나타납니다.
 

2️⃣ 관절낭이 간접적인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어깨 부위 근육 불균형이나 어깨 힘줄 손상(회전근개 손상)등으로 인해 어깨 관절낭에 간접적으로 스트레스를 가하여 손상된 경우
경추 디스크나 뇌졸증, 수술 부작용 등으로 인해 어깨 부위를 지배하는 신경이 손상된 경우.
뉴욕대 정형외과 교수 톰슨(Thomson)과 부교수 코펠(Kopell)은 견갑상신경의 손상에 의해 어깨의 움직임이 악화될 수 있으며, 이는 관절낭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오십견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즉, 경추 손상이나, 뇌졸중 등의 신경질환 또는 오십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목디스크가 있는 사람들의 10%에게서 신경성 오십견이 진단 된 적이 있습니다. 뇌졸중 이후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의 주 원인은 오십견에 의한 통증인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이처럼 관절낭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모든 요인들은 섬유화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분류하며 이들은 관절낭의 유착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Share article
Subscribe to our newsletter

More articles

See more posts

에버엑스 블로그